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광택 니켈 도금 실습_두번째

by 말띠의개인창고 2022. 4. 24.

 

철시편을 이용하여 광택니켈 도금을 하고, 두께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습니다.

연마 전의 철 시편

도금 불량의 대부분은 전처리 작업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전처리 작업에는 연마, 탈지 등의 다양한 작업들이 있는데요.

도금을 하기 전의 작업을 전처리 작업이라 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철 시편의 표면에 스크래치도 많이 나있고, 표면이 거칠어보이는데 이러한 부분을 샌드페이퍼(사포)를 이용하여 표면을 매끈하게 만들어준다면 더욱 원하는 결과의 도금이 진행 됩니다.

사포로 연마작업 한 철 시편

샌드페이퍼(사포)를 이용하여 연마를 한 철 시편입니다.

사포면이 낮은 숫자부터 숫자가 높을수록 점점 면이 고와지는데요.

낮은 숫자부터 진행하며 점점 높은 숫자로 표면을 다듬어줍니다.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연마를 할 때에는 한쪽 방향으로 진행을 해줍니다.

버프 연마 후 철시편 모습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연마가 끝나면, 버프연마를 진행해줍니다.

버프의 표면 또는 주위에 연마제 등을 부착해 버프를 회전시켜 소재를 연마하는 방법을 말한다.

(네이버 용어검색)

버프연마 작업을 하게 되니, 광택이 조금 보이는 것 같습니다.

광택이 보인다는건 그만큼 표면이 매끈해졌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습니다.

연마작업이 모두 끝나게 되면, 탈지작업을 해주어 표면에 묻어있는 기름때 등을 제거해주게 됩니다.

초음파탈지 작업을 해주고, 전해탈지 등을 통해 표면의 때를 벗겨줍니다.

탈지작업이 끝나게 되면 도금을 진행하게 되는데요.

시안화구리 작업 후 모습

시안화구리 도금을 한 이후의 모습입니다.

시안화구리 도금은 보통 하지도금이라고 하는데요.

시안화구리 스트라이크 도금을 하여, 밀착력을 높여 다음 공정에서 진행 될 도금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황산구리 도금 작업 후 모습

시안화구리 도금 작업 후에는 황산구리도금을 진행하였습니다.

니켈 도금 전의 공정입니다.

황산구리도금에도 광택제가 첨가되어 있어 광택이 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색상은 핑크골드(?) 색처럼 이쁜 색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황산구리 도금까지 끝났으니 이제 니켈도금을 진행해야하는데요.

지난 시간에 니켈도금액을 직접 작성하여 비커에 보관해 둔 것이 있어, 작성해놓은 용액을 이용해 도금을 진행하여 합니다.

정류기와 교반기, 양극 등을 통해 비커에서 도금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전에 용액 안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약전해를 통한 불순물 제거작업을 실습해보았습니다.

0.1에서 0.3의 전류를 흘려주어 약전해를 진행하였는데요.

약전해 모습

약전해 모습

이러한 모양의 약전해 판을 이용하여 약한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용액 안의 불순물들이 달라붙게 됩니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약전해를 통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약전해 까지 진행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용액을 통해 광택 니켈 도금을 진행하였습니다.

각 조별로 시편을 준비된 인원부터 실습을 작업하였습니다.

조별 작업 모습

광택니켈 도금 작업 후 모습

황산구리도금까지 진행이 완료가 된 후, 광택니켈 도금작업을 진행한 후의 모습입니다.

지난 시간에 광택제를 첨가하지 않고 니켈도금만 진행하였을 때에는 은백색의 색상으로 광택이 없는 탁한 색이였다 하면, 광택제를 첨가하여 니켈도금을 작업하면 반짝거리는 광택이 나는 은색의 색상입니다.

이후에는 X-RAY 두께 측정기를 통하여, 가운데 부분과 모서리 부분의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실제 효율을 구해볼 수 있었습니다.